티스토리 뷰
유니캐스트
현재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신 방식으로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을 가지고 통신하는 방식.
그 목적지 주소가 아닌 다른 PC들은 CPU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. (자신의 MAC address가 아니라고 반단되면 랜카드가 프레임을 버리기 때문)
브로드캐스트
로컬 랜 상에 붙어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방식.
전체적인 트래픽도 증가하게 되고, 이 패킷을 받은 모든 랜카드가 CPU로 전송하여 전체 PC의 성능도 떨어지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.
멀티캐스트
보내고자 하는 그룹 멤버들에게만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통신방식.
스위치나 라우터가 멀티캐스트를 꼭 지원해야한다.
'interview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TCP 3 way handshake / 4 way handshake (1) | 2018.10.05 |
---|---|
[네트워크] Subnet Mask (서브넷마스크) (0) | 2018.09.30 |
[네트워크] DHCP_동적IP / 고정IP (0) | 2018.09.30 |
[네트워크] 유니캐스트,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 (0) | 2018.09.20 |
[네트워크] FTP(File Transfer Protocol) 이란 (0) | 2018.07.11 |
[네트워크] TCP/IP, TCP, UDP (0) | 2018.06.19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- Total
- 83,243
- Today
- 6
- Yesterday
- 88
링크
TAG
- BOJ
- C
- debug
- ConstraintLayout
- windows
- 퀵정렬
- OS
- Android
- 정렬 알고리즘
- 스프링
- 백준
- layout
- adapter
- 네트워크
- C++
- 알고리즘
- handshake
- HTTP
- RelativeLayout
- 안드로이드
- 이진탐색트리
- 스프링부트
- 백준알고리즘
- frameLayout
- 운영체제
- LinearLayout
- 윈도우
- WinDbg
- DATABASE
- listview