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Micro Kernel
- 꼭 필요한 핵심적인 기능만 남겨둔 최소한의 커널
- 커널에서 제공하는 기능 : IPC, 동기화, 프로세스/메모리 관리 등
- 사용자 프로세스 형태로 제공 : 파일시스템, 네트워크, 입출력 장치 관리
- 입출력장치에 대한 서비스도 인터럽트가 들어오면 커널이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처리해야함
- 이식성이 뛰어나 커널 수행 중에도 서비스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.
> 모든 기능을 다 하지 않고 유저레벨로 올려서 처리하므로 이식성이 뛰어나고 안전하지만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.
Monolithic Kernel
- 모든 커널의 기능을 커널의 내부에 시스템호출과 인터럽트 처리 부분으로 포함하여 제공
- 모든 서비스는 시스템 호출을 통해 제공하는 거대한 객체에 비유될 수 있다.
- 운영체제 기능 변경 시 커널을 새로 컴파일하고 부팅해야한다.
- 시스템 호출에 의한 서비스가 빠르다.
> 모든 기능을 한 곳에서 처리하니까 빠르지만 안정성 문제가 있다.
ex) 리눅스, 유닉스
왼 : Monolithic kernel, 오 : Micro kernel
+) 하이브리드 커널
- micro + monolithic kernel
'interview >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영체제] RAID 종류 (0) | 2018.11.20 |
---|---|
[운영체제] cpu 스케쥴링 알고리즘 (1) | 2018.10.05 |
[운영체제] 쓰레드 동기화, 세마포어(Semaphore), 뮤텍스(Mutex) (0) | 2018.06.20 |
[운영체제] 데드락(교착상태) (1) | 2018.06.19 |
[운영체제] 프로세스와 스레드 (1) | 2018.06.19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layout
- RelativeLayout
- DATABASE
- 운영체제
- 백준알고리즘
- C
- handshake
- WinDbg
- 퀵정렬
- ConstraintLayout
- LinearLayout
- C++
- 안드로이드
- BOJ
- Android
- 이진탐색트리
- 정렬 알고리즘
- 스프링부트
- frameLayout
- windows
- adapter
- OS
- 알고리즘
- listview
- HTTP
- debug
- 스프링
- 백준
- 윈도우
- 네트워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