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스프링부트를 실행할 때 보통 IntelliJ에서 Run 하면 바로 실행할 수 있다.
빌드하고 jar파일을 실행하는 방법도 있다. 오늘은 jar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한다!
터미널에서 아래순서대로 진행하면된다!
1. (맥) ./gradlew build (윈도우) ./gradlew.bat build
2. cd build.libs
3. java -jar (프로젝트명).jar
4. 실행 확인
IntelliJ에서 실행중인데 java -jar로 실행을하면 8080포트가 이미 사용중이라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!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PA] JPA 장점/사용하는 이유, 동작 방식, 성능 (0) | 2021.01.10 |
---|---|
[Spring boot] Controller, 정적 컨텐츠, MVC/템플릿 엔진, API (0) | 2021.01.04 |
[Spring boot] IntelliJ - Github 연동 방법 (0) | 2021.01.03 |
[SPRING/SPRING BOOT] RestTemplate을 이용한 HTTP 통신 (0) | 2020.04.26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- Total
- 101,668
- Today
- 6
- Yesterday
- 77
링크
TAG
- C
- 퀵정렬
- RelativeLayout
- LinearLayout
- listview
- 윈도우
- OS
- ConstraintLayout
- 안드로이드
- 이진탐색트리
- 백준
- handshake
- Android
- WinDbg
- frameLayout
- windows
- 운영체제
- 네트워크
- 알고리즘
- adapter
- debug
- 정렬 알고리즘
- HTTP
- 스프링
- BOJ
- C++
- 스프링부트
- DATABASE
- 백준알고리즘
- layout